
올해부터 가파르게 올라서 현재의 미국 금리는 3.25%
그리고 11월에 다가오는 FOMC 회의와 12월 올해는 2번의
인상기회를 남겨두고 마주하고 있습니다. 갑작스럽게 짜내기 시작한 금리인상에
유동성도 줄고 각종 자산시장들이 곤욕을 겪고 있죠
그리고 최근 이슈화 되고있는 피벗 그 PIVOT은 무슨 용어이고 무엇을 가져다줄수 있을까?
먼저 피벗에 대한 용어 정리를 간단히 해보겠습니다.
PIVOT 이란?
피벗은 연준의 스탠스가 전환하는 시점 즉
현재 밀고 나가고 있는 금리인상 즉 방향 전환을 뜻합니다.
이 얘기가 돌고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1.미국 금리 인상 예상치에 가까워 지고 있다(점도표참고)
2.ECB도 물가만 생각해서 되는게 아니라 경제도 생각하자는 제스처
3.중간선거에 힘을 실어주기 위해서
물론 지난번 8-9월 폴볼커 옛 연준의장을 인용하여 강경한 발언을 내뱉던것을
생각하면 또 아이러니한 분위기이긴 합니다
그당시에만 해도 지금 금리인상을 멈추지 않고 정치적 영향을 받지 않겠다는
의미를 시사한바가 있으니 그러나 무엇보다 아직까지는 지표상 미국경기는
나쁘지 않다 가르키고 있습니다.

일본은 제갈길가고 나머지는 미국따라 허덕이고 있는게 현실이죠
현재는 미국보다는 타국가들이 힘든게 좀더 명확한 상황
그럼 11월 인상까지의 지표들에서 인플레이션이 진정되고
연준의 발언에서 그들이 원했던 말하는 고용과,물가가 잡히는 수치가 나왔다 혹은
연준의 결심과 달리 버텨내지 못해서 지금같은 강스탠스를 중지하겠다
2가지의 상황중 하나가 발생하여 즉 피벗이 언급된다 어떤 효과를 가져올수 있을까?
금리인상을 멈춘다 그동안했던 압박이 없어지니까
시장은 날아갈것 이렇게 단순히 생각하기엔 무리가 있습니다.
역사적으로 보면 밑의 표를 참고해봅시다.
시장은 되려 하락하고, 그기간또한 상당했던것을 볼수 있습니다.
금리인하를 단행한다해서 시장에 펌프질을 해줄것이다라고 단정 지어선 안된다는 것
준비가 안된 조기피벗은 리세션을 인정하는 상황이자 시장의 붕괴 (리세션)

리세션에 가장 먼저 빠진 나라 중국을 예로 잠시 들어보면
현재 중국은 에너지, 식료를 뺀 코어 CPI가 되려 증가하는 모습을 보이고
중국의 동력 부동산은 현재 대가를 톡톡히 치르고 있는 상황입니다.
집들이 완공이 중단되고, 대출이 쌓이기 시작해 건설업은 마르고 은행의 압박은 증가
그리고 물량으로 승부하는 중국이지만 고령화도 매우 심각한 것으로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주식 - GDP- 실업청구건수 - 어닝 순으로 바닥을 찍었습니다.
현재 저희 단계는 어디 까지 왔나 생각을 한번 해보셔도 좋을것입니다.

마무리
피벗이라는 선택이 시장에 득이 될지 독이 될지
현재 침체가 호재라고 인식되는 시장 그랠리속에 숨어 들어오는
진짜 경기침체가 오게된다면? 한번쯤은 생각해볼 가치가 있는 소재입니다
아직은 조금 이르지 않나 앞으로의 지표도 꾸준히 주시해볼것입니다.
연준 긴축 -> 실적 악화 -> 고용 위축 -> 소비 감소 -> 물가 하락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댓글과 좋아요는 큰힘이 됩니다.
코인교과서 정보공유방 비번 6362
https://open.kakao.com/o/gcDIT15c
투자의 첫걸음 코인교과서 -정보공유 소통
#비트코인#이더리움#ftx#업비트#바이낸스#투자#수익#코인뉴스##정보공유#코인#종목#코인공식#라이트코인#칠리즈#이클#빗썸#선물#단타#코인정보방
open.kakao.com
'뉴스&활용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플레이타운 사전예약 간단1분 신청은 가볍게 보상은 무겁게 P2E게임 돈버는 어플 (1) | 2022.11.14 |
---|---|
업비트 로그인 변경 안내 11/21 이후 카카오로그인 종료 (0) | 2022.11.02 |
10월 미국의 경제지표 및 주요일정 다음주 주목점은? (0) | 2022.10.02 |
미국 CPI 소비자물가지수 근원 소비자물가지수 지표공부 (0) | 2022.09.28 |
고용지표에 이어 다음 주목점 미국 CPI 소비자물가지수 (2) | 2022.08.10 |